고희승 개인전 Heeseung Koh Solo Exhibition
Stop and Spot : 멈추고 특별한 위치에 놓다


2025.10. 24 (금 Fri) – 11. 07 (금 Fri)

메타포 서울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140-1
METAPHOR SEOUL
140-1, Samcheong-ro, Jongno-gu, Seoul Korea


기획 : 고희승, 김미연
글 : 고희승
번역 : 이은지
디자인 : 황은별
사진 : 이상훈, 정호석
작품판넬제작 : 문보승
후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사물은 언제나 어딘가에 놓여 있다. 그 놓임은 기능을 위한 보관일 수도 있고, 의미를 위한 배치일 수도 있다. 그러나 두 개념은 뚜렷이 나뉘기보다 서로 겹치고 충돌하며, 사물을 새로운 상태로 이끈다. 보관은 사물의 존재를 유지하는 구조이고, 배치는 그 존재를 드러내는 형식이다. 사물이 본래의 기능을 벗어나 공간에 머무를 때, 그것은 잔여처럼 흩어져 보이기도 하고, 의도된 제안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나는 그 사이의 지점에서 “이 사물은 지금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최근 작업은 벽을 중심으로 한 공간 구조로 확장되고 있다. 벽에 구멍을 뚫어 펜던트나 반지를 끼우고 빼낼 수 있도록 하거나, 작은 선반을 설치해 사물이 머무르는 방식을 제안한다. 선반 위의 오브제들은 반지를 위한 기둥이 되기도 하고, 반지 옆에 머무는 친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아크릴 판재를 이용해 구역을 나누어 깊거나, 얕은 공간을 마련한다. 그 안에 스틱 모양의 핀 브로치나 반지가 맞물리듯 들어가고 빠져나오며, 머묾과 이동이 교차하는 형태를 만든다. 나는 이 작품을 〈주머니〉 시리즈라 부른다. 각각의 공간에서 사물들은 그때마다 새롭게 관계를 맺고 모습을 바꾼다. 작품 속 오브제들은 완전히 고정된 상태와 탈부착 가능한 상태가 미묘하게 혼재하며 공존하여, 숨바꼭질하듯 세심한 관찰을 요구한다.

이처럼 사물은 임시로 놓일 수도, 고정될 수도 있다. 나는 그 사이에서 생겨나는 긴장과 균형, 그리고 흐르는 시선에 주목한다. 그렇게 사물은 잠시 멈추고, 그 특별한 위치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Objects are always placed somewhere. Such placement may serve as preservation for function, or as arrangement for meaning. Yet these two notions rarely stand apart; they overlap, collide, and guide the object into a new state. Preservation sustains the existence of the object, while placement reveals that existence in form. When an object slips free from its original function and simply dwells within space, it may appear scattered like residue, or approach us as an intentional proposition. Between those two conditions, I ask: “In what manner does this object exist now?”

Recent works have expanded into spatial structures centered around walls. By piercing holes into walls, I allow pendants or rings to be inserted and removed; by attaching small shelves, I propose new modes of dwelling for objects. Objects on these shelves sometimes become pillars for rings, and at other times companions resting beside them. Using acrylic panels, I divide areas to create deeper or shallower spaces. Within these compartments, a stick-shaped brooch or ring slides in and out, forming a structure where dwelling and movement intersect. I call this body of work the Pocket series. Within each space, objects continuously form new relationships and alter their forms. They coexist in a subtle interplay between being fixed and detachable, inviting close and careful observation—like a game of hide-and-seek.

Objects may rest only temporarily or remain fixed in place. I focus on the tension and equilibrium that arise between those states, and on the subtle movements of the gaze that flow through them. Each object pauses, briefly suspending time, and from that singular position begins to speak


보호하는 테두리 Guarding Frameᅠ 925은, 적동, 아크릴, 벚나무, 아크릴페인트 925 silver, copper, acrylic, cherry wood, acrylic paintᅠ 230×374×45mmᅠ 2025
얕은 주머니 Shallow Pocketᅠ 925은, 아크릴, 벚나무, 아크릴페인트 925 silver, acrylic, cherry wood, acrylic paintᅠ 230×374×45mmᅠ 2025
세모난 울타리 Triangular Fanceᅠ 925은, 황동, 벚나무 끈, 아크릴 페인트 925 silver, brass, string, cherry wood, acrylic paintᅠ 220×340×45mmᅠ 2025
세 개의 주머니 Three Pocketsᅠ 925은, 20K 금, 벚나무, 아크릴 페인트 925 silver, 20K gold, copper, cherry wood, acrylic paintᅠ 220×250×45mmᅠ 2025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ex04_v2.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ex03.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ex01.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ex02.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01.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02.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03.jpg
http://k-artjewelry.com/files/gimgs/th-256_LHS25_04.jpg